
최근 몇 년간 미국 기업에 신원을 도용한 온라인 슬롯 국적자 다수가 정보기술(IT) 인력으로 고용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온라인 슬롯 요원들은 단순히 네트워크를 해킹하는 대신 원격 근무자로 비밀리에 급여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WSJ는 “사이버 보안 회사인 ‘노우비포’(KnowBe4)가 7월에 카일이라는 이름의 지원자를 원격 근무자 자리에 채용했다”며 “회사 노트북을 워싱턴 주에 있는 주소로 배송해 달라고 요청한 그는 실제로 온라인 슬롯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미국 관리와 보안 연구자들을 인용해 “코로나 이후 원격 근무가 늘고, 생성적 인공지능(AI)이 발전하면서 온라인 슬롯 국적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외국인의 신원을 도용해 수백에서 수천 개의 저급 정보 기술 일자리와 기타 역할에 고용됐다”고 언급했다.
또 “온라인 슬롯 법무부에 따르면, 이 계획은 김정은 정권에 매년 수억 달러의 수익을 가져다주며, 국제 제재를 회피하고,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에 자금 지원을 지속 가능하게 한다”고 덧붙였다.
노우비포의 스투 쇼워먼 최고경영자는(CEO) “제3자 채용 사이트에서 카일의 온라인 슬롯 기술 언어 전문성을 추천받았다”며 “카일은 인터넷에서 스톡 이미지를 사용하여 자신의 링크드인(LinkedIn) 페이지에 AI가 생성한 자신의 사진을 게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첫날에 멀웨어(악성 소프트웨어) 배포를 시도했고, 이를 사기 행위라고 여겨 연방수사국에 신고했다”며 “연방수사국은 사기를 워싱턴 주에 있는 한 주택에서 중개인이 사기 행위를 돕는 것을 추적했다”고 부연했다.
WSJ는 “온라인 슬롯은 고용주를 속이기 위해 종종 미국에 있는 중개인이 운영하는 노트북 팜에 의존하여 온라인 슬롯 사람들이 해외에서 회사 내부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고 설명했다.
또 “원격 근무를 하는 신생 기술 기업인 ‘신더’(Cinder)는 2023년 초에 수십 건의 사기성 지원서를 받기 시작했다”며 “이 회사는 일부 구직 사이트의 지원서의 약 80%가 가짜 신원을 사용하는 온라인 슬롯 요원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